리눅스파티션 테이블 정보
- 교육자료
- 2021. 4. 30.
반응형
파티션 테이블 정보
[root@localhost ~]# fdisk -l
→ 디스크의 구성 정보를 확인
(디스크 타입, 전체용량, 사용용량, 여유공간, 파티션, 부팅디스크 정보 등)
fdisk의 사용방법
디스크 파티션을 확인하고 추가하거나 삭제하는 명령어
(변경 후 재부팅 필수)
[옵션]
- l : 현재 설치된 디스크의 파티션 테이블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.
- s [파티션] : 지정한 파티션의 크기를 출력
(기본단위는 Block → 물리적 레코드로도 불림:1개의 단위로 취급되는 단어, 레코드, 문자들의 집합)
- v : fdisk의 버전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.
mount는 영어 자체를 해석해 보면 “어떠한 장비를 설치하다 (탑재하다)”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.
말 그대로 디스크 장치를 이제 리눅스 시스템에서 인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을 마운트라고 부릅니다.
df명령어 (Disk Free ) → 하드디스크의 용량(파티션별 사용량, 남은용량) 정보 관련 유틸리티
정보확인 : 장치이름(파일시스템), 전체블록 수, 전체 디스크 공간, 디스크 사용량, 남아있는 공간(사용가능공간), 마운트 위치
USB메모리나 외장하드디스크, SD카드 등의 저장매체에 대한 용량 부분도 확인이 가능
du명령어 (Disk Usage ) → 사용 중인 디렉터리의 사용량(용량)을 확인가능
df명령어는 전체 하드디스크의 용량을 확인가능
du명령어는 하드디스크에 있는 각 폴더(디렉터리)별 사용량을 확인가능
반응형
'교육자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무야호 도배방법[밑에 ㄱㄱ] (0) | 2021.05.10 |
---|---|
구조적방법론,컴포넌트기반방법론,애자일방법론,제품계열방법론 (0) | 2021.05.03 |
리눅스파일시스템점검 (0) | 2021.04.30 |
xfs_quota (0) | 2021.04.29 |
델파이기법,스레드,결함관리프로세스 (0) | 2021.04.28 |